으로 시작하는 세 글자의 단어: 4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6개 😀세 글자: 41개 네 글자:9개 다섯 글자:3개 여섯 글자 이상:11개 모든 글자:101개

  • 거리 : (1)‘씻김굿’의 방언
  • 거병 : (1)중국 전한(前漢)의 명장(名將)(B.C.140?~B.C.117). 무제 때에 숙부인 위청(衛靑)과 함께 흉노 토벌에 큰 공을 세웠다.
  • 공충 : (1)개미붙잇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9mm 정도이고, 몸은 붉은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점각(點刻)이 촘촘히 있다. 나무굼벵이 따위를 잡아먹는 이로운 곤충이며 애벌레는 다른 곤충의 알을 먹는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나니 : (1)‘곽란’의 방언
  • 낙원 : (1)독립운동가(1859~1939). 김구의 어머니로, 1922년에 임시 정부가 있는 상하이로 아들을 따라가 뒷바라지하였다.
  • 말약 : (1)중국의 문학가ㆍ정치가(1892~1978). 신문학 운동에 종사하였고 중일 전쟁 후에 과학원 원장, 부수상을 지냈다. 저서에 ≪중국 고대 사회 연구≫, ≪갑골 문자 연구≫, 시집 ≪여신(女神)≫ 따위가 있다. ⇒규범 표기는 ‘궈모뤄’이다.
  • 무천 : (1)중국 송나라 때의 학자(?~?). 유일하게 전해지는 저서인 ≪악부시집(樂府詩集)≫은 악부 가사를 정리한 총집으로 정리가 잘 되어 있어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 미거 : (1)중국의 현대 화가(1908~1971). 상해미전 서양화과를 나와 중앙미대에서 화조화 교육을 담당하였다.
  • 사봉 : (1)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에 있는 산. 부전령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854미터.
  • 산군 : (1)광복 이후 북한이 신설한 군의 하나. 평안북도에 속해 있으며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정주군의 곽산면ㆍ임포면ㆍ안흥면ㆍ관주면과 옥천면의 일부, 남서면의 일부를 합하여 신설하였다.
  • 산뻬 : (1)‘무릎뼈’의 방언
  • 상훈 : (1)정치가(1896~1980). 호는 삼연(三然). 3ㆍ1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8ㆍ15 광복 후 초대~5대 국회 의원, 제5대 민의원 의장, 통일 주체 국민 회의 운영 위원장 따위를 지냈다.
  • 수경 : (1)중국 원나라의 과학자(1231~1316). 자는 약사(若思). 세조를 섬기고, 수리ㆍ토목 사업에 큰 공적을 남겼다. 중국 역법 사상 획기적이고 새로운 수시력(授時曆)을 만들었다. 저서에 ≪추보(推步)≫, ≪입성(立成)≫ 따위가 있다.
  • 숭도 : (1)중국 청나라 말의 외교관(1818~1891). 자는 백침(伯琛). 호는 균선(筠仙)ㆍ옥지노인(玉池老人). 영국 대사와 프랑스 대사를 지냈다. 외국에 있으면서 서양의 과학 기술을 배우자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청나라에 도입할 것을 건의하였다. 저서로 ≪예기질의(禮記質疑)≫, ≪대학질의(大學質疑)≫, ≪양지서옥전집(養知書屋全集)≫ 등이 있다.
  • 승진 : (1)조선 중기의 문신(1418~1477).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희철(希哲). 호는 존양재(存養齋)ㆍ약천(藥川).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지만 벼슬길에 뜻이 없어 입사하지 않았다.
  • 시마 : (1)열대나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카딜로(cadillo) 식물의 줄기에서 얻는 섬유. 크림빛이 나는 흰색이며, 황마와 비슷한 조직으로 되어 있다.
  • 시징 : (1)조선 시대의 학자(1644~1713). 자는 경숙(敬叔)ㆍ지숙(智叔). 호는 경한재(景寒齋). 송시열의 문인(門人)으로 송시열의 천거로 참봉이 되었으나 기사환국 이후 벼슬을 그만두고 제자를 양성하는 데에 힘썼다.
  • 식자 : (1)콩잎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백성’을 이르는 말.
  • 약허 : (1)중국 북송대의 미술 이론가(?~?). 대표작으로 미술 이론과 작가 정리, 그림평 등이 기술된 ≪도화견문지≫가 있다.
  • 언인 : (1)중국 명나라 때의 무장(?~?). 용맹하고 지략이 있었다. 후에 이문충(李文忠)을 따라 절서(浙西) 지역을 평정하고 항주(杭州)를 함락하는 공을 세웠다.
  • 우록 : (1)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이 나라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쓴 책. 경연, 육재(育才), 입법, 치민, 생재(生財), 국용(國用) 등 19항목에 대한 견해를 쓴 것이다. 2권 1책.
  • 이저 : (1)미역귀로 담근 김치.
  • 인쇄 : (1)함이나 갑(匣)에 하는 인쇄.
  • 자의 : (1)중국 당나라의 무장(697~781). 안녹산의 난을 토벌하여 도읍 장안(長安)을 탈환하였고, 뒤에 토번(吐蕃)을 쳐서 큰 공을 세워 사도(司徒), 중서령(中書令)에 이어 분양왕(汾陽王)으로 봉하여졌다.
  • 자흥 : (1)중국 원나라 말의 반란군 지도자(?~1355). 1352년에 군사를 일으켜 호주(濠州)를 차지하였다. 여러 차례 원나라 군사를 격파하여 원수(元帥)라고 불렸지만 내분이 그치질 않아 이에 신경을 쓰다 병으로 죽었다. 주원장(朱元璋)이 그의 수하에 있었다.
  • 재겸 : (1)조선 중기의 의병장(1547~1615). 자는 익보(益輔). 호는 괴헌(槐軒).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에게 방략을 제시하였고 의병을 모집하여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 저서에 ≪훈자육대도(訓子六大圖)≫가 있다.
  • 재우 : (1)조선 중기의 의병장(1552~1617). 자는 계수(季綏). 호는 망우당(忘憂堂). 임진왜란 때 의령(宜寧)에서 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웠고, 정유재란 때 다시 의병장으로 출전하였다. 그 뒤 진주 목사, 함경도 관찰사 따위를 지냈다.
  • 재이 : (1)‘갈퀴’의 방언 (2)‘괭이’의 방언
  • 쟁이 : (1)‘괭이’의 방언 (2)‘갈퀴’의 방언
  • 종석 : (1)구한말의 학자(1846~1919). 자는 명원(鳴遠). 호는 면우(俛宇). 1905년에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폐기와 조약 체결에 참여한 매국노의 처형을 상소하고, 3ㆍ1 운동 때는 파리의 만국 평화 회의에 독립 호소문을 보내어 옥고를 치렀다.
  • 주에 : (1)‘느닷없이’의 방언
  • 주우 : (1)‘느닷없이’의 방언
  • 중에 : (1)‘느닷없이’의 방언
  • 지발 : (1)‘갈큇발’의 북한어.
  • 지봉 : (1)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에 있는 산. 함경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668미터. (2)함경남도 갑산군에 있는 산. 높이는 1,583미터.
  • 징이 : (1)‘갈퀴’의 방언
  • 충서 : (1)중국 후주(後周) 말에서 북송(北宋) 초의 학자ㆍ서화가(?~977). 자는 서선(恕先). 전서(篆書)와 예서(隷書)에 능하였으며, 계척(計尺)을 사용하여 매우 복잡한 누각 건축도 정확하게 그렸다. 저서에 ≪한간(汗簡)≫이 있다.
  • 티슈 : (1)네모진 종이 상자에 담긴 화장지. 한 장씩 뽑아 쓰도록 되어 있다. ⇒규범 표기는 ‘갑 티슈’이다.
  • 학송 : (1)소설가(1927~1992). 1953년 ≪문예≫지에 <안약>, <독목교(獨木橋)>로 등단하였다. 초기에는 사실적 경향이 강했으나, 차츰 심리 분석을 통하여 개인의 한계를 보여 주는 경향을 띠었다. 작품에 소설 <철로(鐵路)>ㆍ<춘원 이광수>ㆍ<낯선 골짜기>, 소설집에 ≪흔적≫ㆍ≪도시의 그림자≫ 따위가 있다.
  • 향로 : (1)꿀풀과에 속한 곽향의 줄기나 잎을 증류해서 얻은 방향수. 더위로 인한 기체, 흉번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쓴다.
  • 휴지 : (1)네모진 종이 상자에 담겨 있는 화장지. 한 장씩 뽑아 쓰도록 되어 있다. ⇒규범 표기는 ‘갑 휴지’이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곽으로 끝나는 단어 (79개) : 내곽, 거짓 윤곽, 전곽, 성냥곽, 음고 윤곽, 꿀곽, 원통형 흉곽, 려곽, 인지 모형 윤곽, 서곽, 골련곽, 횡구식석곽, 주곽, 륜곽, 산촌수곽, 이곽, 연필곽, 녹곽, 여곽, 찬곽, 목곽, 밥곽, 위곽, 손발톱 성곽, 부곽, 흉곽, 윤곽, 불곽, 천곽, 산곽 ...
곽으로 끝나는 단어는 7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곽으로 시작하는 세 글자 단어는 4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